*본관(本貫)이란?
1. 본(本),관향(貫鄕),관(貫)이라고도 한다.
2. 시조나 중시조의 출신지 혹은 정착한 거주지를 근거로 호칭
3. 봉근(封君)의 칭호를 따라 호칭.
[봉군(封君)] : 2품이상의 공로자에게 주는 작위(爵位).
*파(派)의 명칭
파조(派祖)의 관작명(官爵名),시호(諡號),아호(雅號)등으로 부른다.
*휘(諱)와 함(銜)
1.휘자(諱字) : 돌아가신 어른의 이름.
2.함자(銜字) : 살아계신 어른의 이름.
*세(世)와 대(代)
1.세(世) : 시조(始祖)를 일세(一世)로 하여 차례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이 세(世)이다.
2.대(代) : 자기를 뺀 나머지를 자기(自己)로부터 위(上) 또는 아래(下)로 따져서 정하는 것이 대(代)이다.
(예:자기(自己)가 十一세(世)일 때 시조(始祖)는 十대조(代祖)가 되고 자기(自己)는
시조(始祖)의 十대손(代孫)이 된다.
*아명(兒名) : 어렸을때 부르는 이름.
*자(字) : 20세가 되면 성년식과 같이 관례(冠禮)를 행하는데 주례자가 식을 거행하면서 지어준 이름.
*항명(行名) : 항열자에 따라 부르는 이름.
*호(號) 와 택호(宅號)
1.호(號) : 아호(雅號)의 준말로 문인이나 선비가 유림(儒林)에서 인정하여 얻은 칭호.
2.택호(宅號) : 일반 서민이 결혼후 얻은 호칭.
*시호(諡號) : 국가에 특별히 공이많은 신하 학문이 뛰어난 존경을 받은 유학자에게 죽은뒤 국가에서 주는 이름.
1.문인(文人) : 문자(文字)가 최고[조광조:문정공(文正公), 이현일(갈암선생):문경공(문경공(文敬公)]
2.무인(武人) : 충자(忠字)가 최고[이순신 장군:충무공(忠武公)]
*조요(早夭:요절 이란 뜻) : 20세 마만에사용.
*향년(享年) : 70세 되기전에 사망.
*수(壽) : 70세가 넘어사망.
*치사(致仕) : 나이가 많아 벼슬에서 물러남.
*비각(碑閣) : 비석을 보호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건물.
*정려(旌閭) :
1. 특별한 행실에 대하여 국가에서 내려주는 표창.(충신,열녀,효자)
2. 후세들에게 길이 본이 되게하기 위해 그들이 살던 고을에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
*영당(影堂): 이름난 인물의 화상을 모신 사당 영전(影殿).
*호당(湖堂) : 세종때 수양과 학문연구에 전념 할 수 있도록 한 곳 . 독서당 이라고도 한다.
*관직과 명칭
관직의 정식 명칭 : 계(품계의 명칭), 사(司:소속 관청), 직(職:맡은직분).
(예),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 領議 政
(대 광 보 국 숭 록 대 부) (의 정 부) (영 의 정)
계(階): 품계의 명칭사(司): 소속 관청 직(職): 직분
-.증직(贈職) : 나라에서 죽은후 관직과 품계를 추증 하는 벼슬.
-.영직(影職) : 실제 근무하지 않고 이름만 가지고 있는 벼슬.
(차함 :借銜) 이라고도 한다.
-.음직(蔭職) : 공신이나 당상관(정 3품)의 자손들이 과거에 응하지 않고 간단한 시험으로
관리로 임명되는것.
-.음관(蔭官) : 소과(小科:사마시)에 급제한 생원(生員)과 진사(進士)가 처음으로 벼슬에 나가는것.
초사(草仕)라고도 한다.
-.천거(薦擧) : 추천으로 발탁되어 벼슬에 나가는것.
-.급제(及第) : 과거에 합격한 것.
-.묘비(墓碑) : 무덤앞에 세우는 비석의 총칭.
-.비명(碑銘) : 비석에 세긴 글로 명문(銘文)또는 비문(碑文)이라고도 한다
(여기에는 고인의 성명,본관,원적,성행,경력등 새김)
-.묘표(墓表) : 표석(表石)이라고도 하며
앞면-죽은 사람의 관직.이름. 호 ,
뒷면-사적.비세운 날짜 자손들의 이름 등 을 새겨 무덤앞에 세우는 비석.
-묘갈(墓碣) : 3품 이하의 관리들 무덤 앞에 세우는 머리부분이 동그스름한 작은비석.
*추원재[追遠齋) : 효우당(孝友堂)이라고도 한다] :경남 밀양 상남면 소음리 소재.
사재령[司宰令 :일선(日善)] :고려 말엽의 문신의 충절을 기리며 제사를 받드는 재실.
*인산재(仁山齋) : 경남 함안군 가야면 설곡리 인곡소재.
모은공: [오(午)] , 율간공: [중현(仲賢)] , 갈촌공 :[숙(潚)]의 묘소에 따른 제각(祭閣).
*덕산재(德山齋) : 함안군 법수면 황사리 행동 소재 참판공[개지(介智)]의 묘소에 따른 제각(祭閣)
*익심재(翼心齋) : 함안군 산인면 산익 소재.
덕고공[무(珷)], 비인참판공[경성(景成)], 미촌공[면(沔)], 우윤공[익(瀷)], 승사랑[이백(而柏)], 덕옹공[형(炯)] 의 묘소에 따른 제각(祭閣).
외명부인호칭(外命婦人呼稱,文武官婦人)
|
당상(堂上) |
당하(堂下) |
삼상(三上) |
삼하(三下) | |||||||||||||||||||||||||
구분 |
정 일 품正一品 |
종 일 품 종 일 품 |
정 이 품 정 二 品 |
종 이 품 從 二 品 |
정 삼품正三品 |
정삼품正三品 |
종 삼 품 從 三 品 |
정 사 품 正 四 品 |
종 사 품 從 四 品 |
정 오 품 正 五 品 |
종 오 품 從 五 品 |
정 육 품 正 六 品 |
종 육 품 從 六 品 |
정칠품正七品 |
종칠품從七品 |
정팔품正八品 |
종팔품從八品 |
정구품正九品 |
종구품從九品 | ||||||||||
동반東班 |
輔國崇綠大夫 |
숭록대부 崇綠大夫
|
숭정 대부崇政大夫
|
정헌대부正憲大夫 |
자헌대부資憲大夫 |
가정대부嘉靖大夫 |
가선대부嘉善大夫 |
통 정 대 부 通 政 大 夫 |
통훈대부通訓大夫 |
중직대부中直大夫 |
중훈대부中訓大夫 |
봉정대부奉正大夫 |
봉렬대부奉列大夫 |
조산대부朝散大夫 |
조봉대부朝奉大夫 |
통덕량通德郞 |
통선랑通善郞 |
봉직랑奉直郞 |
봉훈랑봉훈랑 |
승의랑承議郞 |
승훈랑承訓郞 |
선교랑宣敎郞 |
선무랑宣務朗 |
무 공 랑 務 功 郞 |
계 공 랑 啓 功 郞 |
통 사 랑 通 仕 郞 |
승사랑承仕郞 |
종사랑從仕郞 |
장사랑將仕郞 |
호칭呼稱 |
貞敬夫人 |
貞정 敬경 夫부 人인 |
貞정 夫부 人인 |
貞정 夫부 人인 |
淑夫人숙부인 |
淑人숙인 |
淑 人 숙 인 |
令 人 영 인 |
令 人 영 인 |
恭 人 공 인 |
恭 人 공 인 |
宜 人 의 인 |
宜 人 의 인 |
安人안인 |
安人안인 |
端人단인 |
端人단인 |
孺人유인 |
孺人유인 |
현조 玄祖 |
고조 高祖 |
증조 曾祖 |
조부 祖父 |
부친 父親 |
자기 |
아들 (子)
|
손자 孫子 |
증손 曾孫 |
현손 玄孫 |
五代祖 |
四代祖 |
三代祖 |
二代祖 |
一代 |
ㅇ:一世 |
二世 |
三世 |
四世 |
五世 |
'김난선공인중개사 > culture/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드 팝송 듣기 (0) | 2017.09.16 |
---|---|
솔베이지의 노래 (0) | 2013.09.27 |
차례지내기와 지방쓰는 법 (0) | 2013.09.13 |
오빠 강남 스타일 (0) | 2012.09.26 |
다이돌핀 (0) | 201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