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재건축의 양도세 비과세 요건
재개발 또는 재건축 예정 주택 1채만을 소유한 사람은 해당 주택을 매도할 때 구입시기와 처분시기에 따라 양도세 비과세가 다름을 주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재개발 또는 재건축 주택의 양도세 비과세는 매입시기가 관리처분계획인가일 이전인가 이후인가 여부와 매도시기가 완성일 이전인가 이후인가에 따라 다르다.
1. 관리처분계획인가일 이전에 매입한 경우
재개발·재건축 예정 주택을 관리처분계획인가일 이전에 매입한 경우에는 완성일 이전에 처분하는가 완성일 이후에 처분하는가에 따라 양도세 비과세요건이 다르다.
1) 완성일 이전에 매도시 양도세 비과세 요건
이때는 아래 그림과 같이 3가지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양도세 비과세를 받을 수 있다. 첫째, 관리처분계획인가일에 비과세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매입일로부터 관리처분계획인가일까지 2년 이상 보유하였어야 한다.
둘째, 관리처분계획인가일에 다른 주택이 없어야 한다.
셋째, 매도일에 다른 주택이 없어야 한다.
만약, 위의 3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어긋나는 경우에는 양도세 비과세를 받을 수 없게 된다.
2) 완성일 이후에 매도할 경우
관리처분계획인가일 이전에 구입하여 완성일 이후에 매도할 때 양도세 비과세 판단은 재건축·재개발 이전 주택의 취득일부터 매도일까지의 보유기간을 기준으로 한다. 즉, 공사기간도 포함하여 양도세 비과세를 판단한다.
2. 관리처분계획인가일 이후 매입한 경우(조합원입주권을 매입한 경우)
관리처분계획인가일 이후 매입한 경우 즉, 재건축 또는 재개발 조합원입주권을 매입하여 완성일 이전에 매도하면 양도세 비과세를 받을 수 없다. 그러나 완성일 이후에 매도할 때는 완성일 이후부터 매도일까지의 기간에 1주택자의 양도세 비과세 요건을 갖추어야 비과세를 받는다. 이때 주의할 사항은 최초 취득일부터 완성일까지 기간은 양도세 비과세 판단시 배제한다는 점이다. 즉, 완성일 이후의 보유기간을 기준으로 양도세 비과세를 판정하여야 한다.
이문동재개발(이문1구역, 이문3구역) 전문
김난선공인중개사(02-957-1122)
'부동산관련세법 > 양도소득세/소득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도 부동산 양도소득세율 (0) | 2018.01.12 |
---|---|
2017년 양도소득세 개정안(기획재정부) (0) | 2017.08.04 |
2017년도 양도소득세율 (0) | 2016.12.28 |
비사업용토지 내년에 팔아야 절세 할 수 있다 (0) | 2016.12.08 |
2016년도 양도소득세율 (0) | 2016.03.25 |